본문 바로가기

[Thai Airways] 타이항공 B777-200ER 비즈니스 탑승기 방콕에 도착해서 짧은 환승을 거쳐서 싱가포르로 향합니다. 예약할 때는 B787-9가 투입되는 노선이었는데, 이날은 B777-200ER로 차돌리기를 당했더군요.      보딩 & 프리 보딩    이날 탑승한 B777-200ER 기체입니다. 등록번호는 HS-TJV로, 올해로 기령 17년이 되는 노장입니다. 한때 타이항공이 인천 경유로 이 B777-200ER을 투입해서 LA까지 노선을 운영했었습니다.        좌석 설비   B777-200ER의 비즈니스석은 2-2-2 구성입니다. 일명 미끄럼틀식 좌석이고, 고급스러운 보라색으로 디자인되어있습니다. 17년된 기재치고 굉장히 깔끔한데, 리뉴얼한지 얼마 안 된 모양입니다.            전부 젖혀본 모습입니다. 풀 플랫까진 가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주로 중..
[Thai Airways] 타이항공 A350-900 비즈니스 탑승기 슬슬 마일리지도 써야하다보니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스얼로 아시아나 마일을 털고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여름 휴가로 일본 출장 직후 싱가폴을 가기로 하고, 하네다-방콕-싱가포르로 발권을 마쳤습니다. (다시 한번 편도신공이 맘껏 가능한 아시아나 스얼 발권이 얼마나 혜자인지 느끼게 되네요)  근데, 하필 출국날...도쿄에 태풍 암필이 접근하면서, 머리를 열심히 굴리다가 긴급히 나고야-방콕-싱가폴로 발권을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원래는 B777-300ER을 타게 될 예정이었으나, 뜻하지 않게 A350-900을 타게 되었습니다.     보딩 & 프리 보딩   이날 탑승했던 타이항공의 A350-900입니다. 등록번호 HS-THS입니다. 기령은 6년, 첫 주인은 홍콩 항공이었으나, 코로나로 인한 경영난으로 리스 반..
[ANA] ANA 국내선 프리미엄 클래스 후기 일본에 업무차 갔을때 오사카-도쿄간 이동에 아침 신칸센 vs 비행기 옵션이 주어졌었습니다. 원랜 별 생각없이 신칸센을 탔겠지만, 문득 "비행기는 얼마일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찾아보니 아침 첫비행기로 당시 새 기재인 B787-10이 오사카-하네다 구간에 투입되는것을 발견하고 "아 이거다!" 하고 발권했었습니다. 첫 비행기라 그런지 프리미엄 클래스도 저렴해서 프리미엄 클래스로 질러버렸습니다.     보딩 & 프리 보딩   사실 국내선이라 진짜 별거 없습니다. 라운지도 ANA 국내선 라운지는 마실거에 간단한 주전부리가 전부입니다.  더군다나 이날 ANA의 두번째 출발 비행기라서 더더욱 뭐 즐길거리도 없습니다. 특이한거라면 이제 막 업무차 출근하는 ANA직원들이 엄청 많았다는 것 정도...?        좌석..
[JAL] 일본항공 B787-9 비즈니스 탑승기 작년 4월 귀국길이었는데, 원 루트는 뮌헨-코펜하겐-하네다/나리타-인천이었습니다. 문제는 코펜하겐에서 하네다로 오는 항공편이 활주로 정비 문제로 출발 3시간 지연이 되었고, 맞바람이 심했는지 결국 지연 회복을 못하고 하네다에 도착했습니다. 하네다-나리타간 자가 환승이었는데 환승이 가능한 하네다발 나리타행 직행 리무진 막차를 놓쳐버려서(...) 체크인을 막 끝내고 철수하는 SAS발권 카운터에 달려가서 사정사정해서 엔도스를 받아냈습니다.  엔도스를 같은 동맹체인 아시아나나 ANA로 줄 줄 알았는데, 의외로 원월드인 JAL을 떡하니 엔도스해줘서 깜짝 놀랐습니다.  그리고 그날 카운터 총괄인것 같아 보이시던 멋쟁이 직원분께서 좌석도 1K로 지정해줬다고 엄지척을 올려주시더군요 ㅎㅎ   덕분에 스얼빠가 처음으로 J..
[Roco] Smartrail 리뷰 간만의 철도모형 관련 리뷰입니다.  차량쪽 리뷰를 준비해보려 했는데, 준비된게 마딱찮아서 다시 보조 설비(?) 리뷰를 들고오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리뷰할 제품은 Roco의 Smartrail이라는 제품입니다. 구동형 디스플레이 제품으로, 디스플레이 케이스 안에 Z21 컨트롤러가 내장되어 있어, 전시와 구동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제품입니다.  2013년에 처음 Fleischmann에서 선보인 뒤로, 2016년에 Roco/Fleischmann 그룹에서 한번 재발매한 뒤, 2024년에 세번째로 발매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구매한 제품은 2024년도 발매분 제품으로, 최신형 Z21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박스입니다. 크기가...거대합니다. 대략 한 55cm가량 됩니다.          박스를 벗..
[SAS] SAS A350-900 비즈니스 클래스 탑승기 작년 4월에 탑승한 SAS의 A350 비즈니스입니다. SAS가 간혹 인천발 코펜하겐 왕복을 엄청나게 싸게 뿌려서 당시에 혹해서 사비들여 유럽 갈 일이 있기에 구매했었던 여정입니다. 구간은 ICN-PVG-CPH / CPH-HND-NRT-ICN이었습니다. 지금은 단항한 PVG-CPH구간입니다만, PVG에서의 사실상의 셀프환승 감안하고 타면 코시국 직후인걸 감안하면 꽤나 저렴하게 유럽행 비즈가 가능했었습니다.  이젠 스얼도 탈퇴했고, 올해 9월에 스카이팀 멤버인 대한항공과의 연계를 노리고 한국 직항 취항을 한다고 하니, 한국에서 더 자주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보딩 & 프리 보딩      이날 인천-상하이 구간은 아시아나 항공 비즈니스를 이용했습니다. 아직 수요 회복이 덜 된 때라, A321로 운..
[Singapore Airlines] 싱가포르 항공 A350 단거리 비즈니스 1월 유럽 여행 이후 곧바로 다시 출장(..)이 잡혀서 다녀오는 길이었습니다. 오는 길에 후유증인지 몸이 너무 힘들더군요. 결국 고민끝에 유상 비즈 업글 오퍼를 받을까 말까 엄청 고민하다가 질러버렸습니다.   언젠간 현아플 MR을 싱항으로 넘겨서 타볼 생각이었는데, 이렇게 타보게 되었네요. 탑승 구간은 SIN-ICN으로, 싱가포르항공의 단거리 A350기재가 들어갑니다.    이날 몸이 얼마나 안좋았는지 보딩할 때 사진이 1장도 안남아있네요 -_-;;;   좌석 설비    싱가포르의 단거리 좌석 비즈니스입니다. 스태거드형 좌석이고, 아시아나의 스마티움처럼 좌석 옆에 거대한 선반이 있습니다. 재질은 가죽재질로, 생각보다 푹신합니다.        좌석을 모두 펼쳐본 상태입니다.         풋웰 공간입니다...
[ANA] ANA The Room (더 룸) 탑승기 지난편에 이어지는 ANA 비즈니스 탑승기입니다.   ANA의 The Room은 현재 ANA의 최신식 좌석이며, 현재 ANA의 기함급인 B777-300ER 기종에만 장착되어 있습니다. 다만 The Room 좌석은 모든 B777-300ER에 장착된게 아니라, 일부 기종에만 장착이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2022년에 처음 발표 되었는데, 향후 B777-9를 기함으로 쓸 요량이던 ANA가 이후 덮친 코로나 여파로 Retrofit을 진행하다가 관두었기 때문입니다. (13대중 10대만 진행) 다만 계속되는 B777-9의 지연에 ANA가 기존 비즈니스가 장착된 기종을 어떻게 할지는 앞으로 봐야 할 부분인 것 같습니다. 여하튼, ANA의 더 룸을 노리신다면 더 룸 좌석이 고정 투입되는 HND-JFK / HND-LHR루..